본문 바로가기
생활 지식

마비성 장폐색: 원인부터 증상, 치료까지 총정리

by 지식전파바이러스 2025. 7. 12.

마비성 장폐색: 원인부터 증상, 치료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지식전파 바이러스입니다.

최근 개그맨 김영철 씨가 마비성 장폐색으로 긴급 입원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마비성 장폐색은 장폐색의 한 종류로,

기계적 폐색 없이 장운동이 멈추어 기능적으로 장 내용물이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오늘은 마비성 장폐색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까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 드릴게요.

마비성 장폐색


마비성 장폐색이란?

마비성 장폐색(paralytic ileus)은 장관의 운동이 저하되거나 정지되어 음식물이나 가스가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즉, 물리적으로 막힌 것이 아니라 신경이나 근육 기능 저하로 장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기능적 폐쇄입니다.

 

음식물이 지나갈 길은 있지만 지나갈 운동력이 없어 정체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죠.


마비성 장폐색의 주요 원인

마비성 장폐색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강 수술 후

  • 수술 직후 마취의 영향, 복막 자극으로 장운동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 복부 수술 후 척추손상(SCI) 등이 원인이 됩니다.

급성 염증성 질환

  • 급성 복막염, 췌장염, 담낭염 등 염증으로 인한 자율신경 이상이 원인이 됩니다.

약물 부작용

  • 아편제, 마약성 진통제, 항콜린제 등 장운동 억제 작용을 하는 약물 복용 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 및 기타

  • 복부 외상, 전해질 불균형, 저칼륨혈증, 대사성 질환, 심각한 변비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비성 장폐색 증상과 특징

변비와 복부 팽만감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배가 계속 빵빵한 느낌
복통·구역·구토 주기적이지 않고 지속적이며, 소화가 되지 않아 구토, 발열, 객혈, 대사성산증 발생 가능
장음 감소 청진 시 장운동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음
가스 배출 가능성 일부 가스가 배출되기도 함(기계적 폐색과 차이점)
마비성 장폐색 소화기관
장운동 정지로 인한 마비성 장폐색

마비성 장폐색 진단 방법

  • 복부 청진 : 장음 확인
  • 복부 X선 검사 : 장 내부 가스 분포 및 팽만 상태 확인
  • 복부 CT : 기계적 폐색과의 감별에 도움
  • 혈액·전해질 검사 : 전해질 이상 여부 확인

마비성 장폐색 치료법

마비성 장폐색은 대부분 내과적 보존 치료로 호전됩니다.

  1. 금식 : 장의 휴식을 위해 음식물 섭취를 중단합니다.
  2. 비위관 삽입 : 장 내용물과 가스를 배출해 복부 압력을 줄입니다.
  3. 수액 치료 :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합니다.
  4. 약물 치료 : 필요 시 진경제, 장운동 촉진제 등을 투여합니다.
  5. 수술적 치료 : 보존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기계적 폐색이 의심되면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마비성 장폐색 증상 복통
마비성 장폐색 증상(복부 팽만)


마비성 장폐색 예방 및 관리법

  • 수술 후에는 조기 보행, 적절한 수분 섭취로 장운동 회복을 돕습니다.
  • 복부 팽만, 통증, 구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세요.
  •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부작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마비성 장폐색 Q&A

Q. 마비성 장폐색과 기계적 장폐색의 차이는 뭔가요?

A. 기계적 장폐색은 종양, 유착 등 실제로 물리적으로 막히는 것이고, 마비성은 장운동이 멈춰 흐르지 않는 것입니다.

Q. 얼마나 빨리 치료해야 하나요?

A. 대부분 수일 내 완화되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장 천공, 패혈증 등 위험이 크므로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마비성 장폐색 요약

✅ 장운동 마비로 내용물이 흐르지 못해 복부 팽만, 통증, 구토를 유발합니다.
복강 수술 후, 염증, 약물 부작용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 대부분 보존 치료로 호전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 마치며

여름철 기름진 음식이나 해산물 섭취로 인한 급성 염증이 유발 요인이 될 수 있으니 식습관 관리와 수분 섭취도 중요합니다.
복통이나 복부 팽만이 심하다면 참지 말고 병원에 내원하세요! 모든 질병은 조기발견이 가장 중요합니다!

 

무더운 여름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쓰시기 바랍니다:)